생체3급 시험자료

[스크랩] 해부생리학 기본개념

고립된 자아 2006. 12. 14. 04:59
<해부생리학>

1. 저작근 : 교근, 측두근, 내측익돌근, 외측익돌근-하악신경

2. 횡격막
- 원개 모양(dome)의 골격근, 흉강과 복강의 경계막(흡기-호기 모두에 관여)
복식호흡 주관(수축시 흡기근, 이완시 호기근), 경신경 분지의 횡격신경이 지배.
- 흉강에서 복강으로 통과하는 3개의 주요한 구멍.
·대동맥열공 : 제12흉추 높이, 하행대동맥, 기정맥, 흉관, 교감신경 통과
·식도열공 : 식도, 미주신경 통과
·대정맥공 : 하대정맥, 우횡격신경이 통과

3. 대동맥열공으로 통과하는 것 : 하행대동맥, 기정맥, 흉관, 교감신경 통과

4. 하퇴삼두근 : 비복근, 가자미근(넙치근) - 경골신경

5. 상완의 운동(견관절)의 외전에 관련된 근육 -
삼각근, 극상근

6. 뼈의 구조
1) 골막 : 골의 표면(관절연골 제외)을 싸고 있는 질긴 섬유막,
뼈의 보호, 영양, 재생, 성장(뼈의 굵기) 담당
골막의 비후-체중이 증가됨
2) 골단 : 대부분 초자연골로 되어있으며 뼈의 연령판정에 이용.
골단 비후 - 키가 커짐(골단판이 뼈의 길이성장을 일으킴)
3) 치밀층 : 뼈의 가장 바깥층(단단하고 조밀한 부분)
신경, 혈관의 통로인 하버스관과 볼크만관이 발달됨
4) 해면층 : 뼈의 중간층(엉성하고 연한 부분)-속에 골수강이 있음
골소주가 발달되어 있음. 산소와 영양공급, 굴절능력이 있다.
5) 골수강 : 골수가 들어 있음.
a. 적골수 : 현재 조혈작용이 진행중인 골수
b. 황골수 : 골수가 지방조직으로 대치되어 조혈이 중지된 골수-잠재성임.
c. 교양골수 : 노인이나 소모성질환자의 골수

7. 척추의 구조
·추간판 : 23개의 섬유성 연골로 척주 길이의 1/3에 해당함.
경추에서 요추까지 있음. 주변부는 딱딱한 섬유륜.
중앙부의 젤리상의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음.
·추골 - 추체 : 23개의 추간판으로 서로 연결됨
추공 : 척추강을 형성하는 척수가 통과함
추궁 : 3종 7개의 기본돌기가 있음(극돌기 1개, 횡돌기 2개, 상·하관절돌기 4개)

8. 척주의 만곡 : 신생아는 2개, 성인은 4개.
·신생아 만곡(1차만곡) - 흉부만곡, 천부만곡: 선천적으로 형성.
·성인 만곡(2차만곡) - 경부만곡(생후 3-4개월에 형성)
요부만곡(생후 12-18개월에 형성)

9. 상완견갑부에 있는 근육중 상지운동에 작용하는 근육들 : 삼각근, 오훼완근, 대흉근, 상완이두근 - flexion

10. 주관절 굴곡, 전완 회내전 시키는 근육 - 원회내근(pronator teres)

11. 복관절 : 3개 이상의 뼈로서 구성된 관절(주관절, 거퇴관절, 슬관절, 요골수근관절)

12. 목뒤에서 만지기 쉬운 것 - 융추(제7경추)

13. 흉골
·구조 : 흉골병 - 경절흔, 쇄골절흔 있음
흉골체 : 골수의 기능검사시 천자부위임(일생동안 적골수)
검상돌기 : 횡격막의 기시점(칼돌기)
·늑골절흔 : 7쌍이 있음(7쌍의 늑골이 직접관절하여 진늑골 이룸)
·흉골각 : 흉골병과 흉골체의 결합부로 늑골위치의 표시점이며 제2늑연골이 접함.

14. 슬관절
·보강 : 관절낭, 슬개인대, 사슬와인대, 내·외측측부인대, 전·후십자인대, 내·외측반월판, 슬횡인대
·운동 : 굴곡, 신전, 내·외회전

15. 골반의 남녀성차

16. 내측 종족궁 : 스프링 작용(외측종족궁-체중지지)
·종골-거골-주상골-설상골-1,2,3-중족골

17. 공기 내뿜는 근육 : 협근(입의 압력)

18. 상완골 내측상과에서 기시하는 근육(전완굴근에 관여하는 근육)
·원회내근, 요측수근굴근, 장장근, (+척측수근굴근)

19. 견갑골
·제 2-7늑골 사이에 있는 삼각형의 편평골로
일명 주걱뼈
·구조 : 늑골면 - 전면으로 견갑하와를 형성함
배측면 - 견갑극을 중심으로 극상와 및 극하와로 구분
견봉 - 흉골과 관절함
관절강 - 상완골과 견관절을 형성
오훼돌기 - 근육의 부착부
·극 : 견갑골의 후면을 비스듬히 가로질러 주행하는 날카로운 선상융기
·견봉 : 견갑극 외측단의 돌출, 견갑골의 첨단으로 촉지할 수 있다. 쇄골과 관절한다.
·오훼돌기 : 견갑골 상연에서 전면을 향하는 돌기.
삼각근과 대흉근 사이의 오목을 촉지할 수 있으며 하방에 쇄골이 있다.
·관절와 : 상완골두에 접한다.

- 상완골
·두 : 상완골의 근위단에 있어서의 평활한 반구상의 팽대부
·해부경 : 두의 직하를 비스듬히 주행하는 구
·대결절 : 전면에 있어서 두의 외측에서 보이는 둥근 돌출
·소결절 : 해부경의 바로 아래에서 전면에 있는 뚜렷한 돌출
·결절간구 : 대결절과 소결절 사이의 깊은 고랑, 상완이두근의 장두건이 이곳에 지나간다.
·외과경 : 결절의 직하방 부분, 골절이 쉽기 일어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삼각근 조면 : V자형을 한 조면, 골간의 거의 중간부이며 이곳에 삼각근이 붙는다.

20. 천골
- 성인에는 5개의 천추가 유합하여 1개의 천골로 되어 있다. 전면에는 각 추골의 유합을 나타내는 4개의 횡선이 있으며 후면에는 각 돌기가 유합되어 능선을 이루고 있다. 4쌍의 전·후천골공이 있다. 천골의 상단은 천골저이고, 그 전연부는 최전방으로 돌출해 있어 갑각이라고 하며 골반 계측점으로써 중요하다. 천골외측부에는 귀모양을 한 커다란 관절면이 있어 이상면이라고 하며, 관골의 이상면과 평면관절을 만든다(천장관절).

21. 견관절의 관절와 -> 얕다(so 관절순이 보강)
관절강 -> 약하다 so 인대보강(오훼견봉인대,
오훼상완인대, 관절상완인대)

22. 상완에서 골절이 잘 일어나는 곳 : 외과경

23. 접형골
·두개골 저부에서 중두개와를 형성하는 나비모양의 뼈
·구조
a. 체부-터어키안, 접형골동이 있음
b. 대익-정원공(상악신경 통과), 난원공(하악신경 통과), 극공(중뇌막동맥 통과)
c. 소익-시신경이 개구함
d. 익상돌기-1쌍으로 되어있으며, 내·외측판으로 구분됨
- 터어키안 : 뇌하수체가 놓일 하수체와를 형성함
- 상완와열 : 대익과 소익사이, 안구로 가는 신경과 혈관들이 통과함

24. 발목손상, 과체중 등 염좌나 손상받기 쉬운 관절은? 거퇴관절

25. 내포
·기저핵으로 둘러싸인 신경섬유의 통행로, 내낭에 의하여 기저핵이 내측군과 외측군으로 구분.
·유수섬유가 모여 있다.
·상행선, 하행선 섬유가 지나가는 곳-투사섬유
·손상시 : 하행선-뇌성마비, 상행선-지각,감각장애

26. 신경세포의 종류
·다극신경원 : 세포체로부터 다사의 수상돌기와 1개의 긴 축삭이 돌출되어 있는 가장 흔한 신경원으로 골격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은 모두 이 형태로 되어있다.
·이극신경원 : 세포체의 양극에서 각각 1개씩의 수상돌기와 축삭이 나오는 신경원으로 눈의 망막이나 귀의 와우신경절 등의 특수감각기를 구성하고 있다.
·단극신경원 : 세포체에서 1개의 돌기가 나와 각각 1개씩의 축삭과 수상돌기성 축삭으로 다시 나누어지는 형태의 신경원으로 보통 위단극신경원이라고 함.
·무극신경원 :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여러개의 수상돌기가 있지만 축삭이 없는 신경원. 중추신경계와 특수감각기등에서 볼 수 있으나 명확한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27. 신경섬유
a. 세포체 - 니슬소체를 함유함
b. 수상돌기 - 여러개가 있으며 구심성 섬유임
c. 축삭 - 1개씩 있으며 원심성 섬유임
기시부,랑비에마디,종말단추로 구분함.
Ranvier마디에서 측부지가 나오고, 종말단추의 액포에는 전달물질을 함유함.
d. 수초가 있는 축삭은 유수신경섬유, 수초가 없는 축삭은 무수신경섬유라고 함.
e. 슈반세포 : 수초를 형성, 축삭의 영양과 재생에 관여
*신경초라고도 하며, 소량의 세포질과 핵이 있다.
f. 니슬소체(호반소체) : RNA과립으로 단백질 합성, 신경원의 기능, 영양, 재생에 관여함(염기성 색소에 염색됨)
g. 신경연접(synapse) : 신경과 신경사이로 간격은 약 200마이크론임.

28. 도약전도 - 랑비에르 마디가 있어 가능.(유수신경섬유에서만 가능)

29. 피부수용기 - 환상통⇒ receptor가 있는 곳에서만 느낀다.

30. 근육의 정지부가 상완골 대결절에서 끝나는 것은? ⇒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31. 근방추
⇒ 근육속에 들어있는 감각수용기. 한쪽 끝은 근육의 근내초에 다른 한쪽 끝은 근외초에 부착되어 전체적으로는 골격근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근방추 내에 있는 근섬유들을 추내근 섬유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핵낭형과 핵쇄상형이 있으며 근방추 내에 근섬유와 골격근의 섬유를 구별하기 위하여 골격근의 근섬유를 추외근섬유라고 부른다. 한 개의 근방추는 2개의 핵낭형과 4-5개의 핵쇄상형의 추내근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데, 추내근섬유는 일종의 감각수용기이므로 여기에는 1차 감각신경이 연결되어 있다. 한 개의 추내근섬유에는 보통 한 개의 1차 신경종말이 섬유중간부위에 있고 그 한쪽으로 혹은 양쪽으로 0-5개의 2차 신경종말이 존재하는데 2차 신경종말은 주로 핵낭형의 추내근섬유에 많이 있다.



32. 상완삼두근
⇒ 상완 후면에 위치하며, 장두는 견갑골의 관절하결절에서 기시하며, 내측두는 상완골후내측면에서 기시, 외측두는 상완골후외측면에서 기시한다. 정지는 주두에서, 지배신경은 요골신경이다. 전완의 신전에 관여한다(회전은 돕지 않는다).

33. 뇌간망상체
⇒ 생명중추이며 뇌간에 있다. 호흡,연하,구토,위액분비,타액분비,심장활동. (참조. 신경해부학 p.356-357)

34. 소뇌 기능 장애시 나타나는 증상
1) 평형운동 장애 : 고소뇌(편엽) 증상으로써 보행과 기립장애가 오며 일직선상을 바로 걸을 수 없고 술취한 사 람처럼 비틀거린다.
2) 근긴장 장애 : 소뇌반구의 후협부와 외측부 장애 때 나타나며 근력이 약해지고 쉽게 피로해진다.
3) 협조운동장애 : 근력저하, 근수축과 이완의 지연, 공동운동의 장애, 복잡한 운동의 장애
4) 추적(겨냥)이상 : 수의운동의 목적에 이상이 와서 거리, 속도, 힘의 예측을 잘못하게 되며 손발이 목표에 닿지 않거나 목적있는 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5) 운동의 해리 : 어떤 운동을 할 때 복잡하고 정밀한 운동이 올바른 순서와 크기로 할 수 없게 되며 소뇌진전이 일어난다.

35. 혈관벽 손상시 지혈단계에서 꼭 필요한 것
: 비타민 k.

36. 적혈구 성숙인자 : Fe, Cu, Ca, 엽산, 피리독신, 리보플라빈, 비타민 B12

37. 항체 형성
⇒ histamin(알러지물질)을 억제해서 알러지반응을 중화시킬 수 있는 물질? 면역글로불린E(IgE)
histamin은 혈관확장 물질로 작용, 호염기성 백혈구 표면에 많이 붙어 있다.
⇒ 항체 : 일종의 고분자 단백질로 면역글로불린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항체의 성분에서 혈장단백질의 globulin 입자가 발견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항체는 이종물질이 생체에 들어가 생체세포를 자극할 때 생체세포가 생성한 혈청단백으로 액체성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IgE : 신생아 감염예방(모체에서 태아로 유입하는 유일한 면역글로불린이다)
IgM : 대식세포 활성화, 이물질 해독.
IgA : 타액 위장관 점막에서 분비
IgD : B림프구에 의해 생성

38. B림프구 형성
⇒ 재순화하는 소림프구의 약 20%를 차지하며 세포의 수명은 T림프구에 비해 매우 짧은 편이다.
답 : 형질세포(plasma cell)

39. 접형골 구멍중 통과되는 것 : 23번 참조
40. 소화장지 중 췌장으로 분비되는 소화효소가 작용하는 장기는 : 십이지장(대십이지장유두)

41. 황색인대 : 탄련섬유가 많고 추궁과 추궁간에 연결(일명 추궁간인대)

42. 식도 ⇒ 약 25cm인 막성관이며 점막은 중층편평상피로 되어 있음.
1/2(상부)은 골격근, 1/2(하부)은 평활근으로 구성됨.
하부는 위의 분문과 연결
⇒ 3곳의 협착부
제1협착부 : 윤상연골 뒤(절치로부터 15cm 되는 지점)
2협착부 : 기관분기 후방(절치로부터 25cm 되는 지점)
3협착부 : 횡격막 관통부(절치로부터 38cm 되는 지점)
⇒ 식도의 위치 : 흉강 내 기관의 후면
절치에서 위까지의 거리 : 약 40 cm

43. 뇌두개골 : 관절(봉합) ⇒예외 : 악관절

44. 견관절 ⇒ 섬유연골인 관절순이 있다.
오훼상완인대 - 오훼돌기와 대결절 연결.
관절낭 - 관절낭과 인대 미약(so 오훼상완인대 있다)

45. 흉추와 늑골이 관절하는 곳
⇒ 늑골두(늑골와), 늑골결절(횡돌늑골와)

46. 척추인대중 황인대가 없는 관절 : 환추후두관절

47. 슬관절의 활막주름(슬개주름)
⇒ 활막주름속에서 지방있고 익상주름, 기본적으로
슬관절(관절강)을 보호, 십자인대와 관절 반월주위

48. 전십자인대 부착부위
⇒ 기시:경골과간융기, 정지 : 대퇴골 내측과

49. 활막성관절
a. 접번관절 :
b. 차축관절 :
c. 과상관절 :
d. 안장관절 :
e. 구상관절 :
f. 구관절 :
g. 평면관절 :

50. 간의 구조
1) 무게 1.5kg, 인체 최대의 선
2) 우상복부에 위치, 가장 재생력이 강한 실질성 장기,
3) 구분 ①우엽 : 고육우엽, 미상엽, 방형엽 ②좌엽: 담즙생산
4) 미세구조 : ① 6각형의 간소엽을 형성하며 중심정맥이 관통함
② 간세포-2줄의 간세포삭을 형성함
③ 동양혈관 -내피세포와 식작용이 있는 성상세포가(kupffer 세포)가 있음
5) 간의 고정인대 : 겸상간막, 간원삭, 삼각간막, 관상간막
6) 기능 : ① 담즙생산 ②해독작용 ③철분 및 비타민 저장 ④요소합성
⑤ Heparin, Prothrombin, Albumin 등의 각종 화학물질 생산
7) 혈관 : ① 기능혈관-문정맥, 중심정맥 ② 영양혈관-고유간동맥
* 간에서 프로트롬빈 생산시 비타민 K가 필요함
* 간문- 간동맥·문정맥·담관·신경·림프관이 통과

51. 췌장 구조
⇒ 구조 ① 무게 70g 십이지장 C자 내에 위치함
② 내·외분비장기, 3개 영양소 분해효소 분비함
③ 랑게르한스섬이 있음
⇒ 췌장액(소화액) ① 분비량 및 산도 : 1일 1,200ml, pH 8.5
② 주성분 : 탄산수소나트륨(NaHCO3)
③ 소화효소 : trypsin-단백질 분해, amylase-탄수화물 분해, Iipase-지방분해
④ 췌액 분비 촉진 호르몬 : secretin
⑤ 분비부 : 십이지장의 대십이지장유두

52. 복막후 장기 : 십이지장, 췌장, 신장, 부신 등
복막내 장기 : 위, 공장, 회장, 충수, 비장, 난소 등

53. 후두
⇒ 소화기와 호흡기의 교차점=인두, 인두-이관-중이로 서로 교통함
⇒후두연골(6종 9개)
a. 갑상연골 : 후두융기연골(Adam's apple), 1개
b. 윤상연골 : 가락지 모양, 가장 밑에 있는 연골, 1개
c. 피열연골 : 성대돌기가 있어 발성에 관여함, 2개
d. 후두개연골 : 후두개의 기초가 되는 주걱모양의 탄력연골, 1개
e. 소각연골 : 2개
f. 설상연골 : 2개

54. 기관
a. 길이 : 10cm (윤상연골-기관분기부)
b. 구성 15-20개의 C자형 초자연골(기관연골)로 구성됨
c. 분기 : 제5흉추 높이에서 약 70°의 각을 이루면서 좌·우 기관지로 분지됨.
d. 점막 : 위중층섬모원주상피
* 기관절개술 부위 : 윤상연골 하연 1cm 되는 제 2-3기관연골 사이.

55. 폐의 구조
⇒ 개요 ① 무게 : 체중의 1/40(우폐-630g > 좌폐-530g)
② 2겹의 흉막으로 싸여 있고, 구성단위는 폐소엽임
③ 구분(사열 및 수평열에 의하여 각 엽으로 구분)
ⅰ) 우폐- 3엽(상엽, 중엽, 하엽), 10구역
ⅱ) 좌폐- 2엽(상엽, 하엽), 8구역
④ 좌폐에는 폐소설과 심절흔이 있음
⑤ 폐문 통과물 : 폐정맥, 폐동맥, 기관지, 신경, 림프관
⇒ 폐포 ①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호흡기계의 기능적 단위
② 개수는 3~5억개, 표면적은 약 70~80㎡
③ 분포 : 호흡세기관지, 페포관, 폐포낭
④ 폐포 상피세포
ⅰ) Ⅰ형 세포 : 호흡 상피세포
ⅱ) Ⅱ형 세포 : 계면 활성제 분비세포
⑤ 먼지세포 : 폐포강내로 돌출되어 있는 식작용 세포
⑥ 폐포와 모세 혈관 사이의 벽은 호흡막을 이룸

56. 비장(Spleen)의 기능
⇒ ·복강내 좌심방, 위저부와 횡경막사이 (3각형 내지 난원형)
·무게 170g 가장 큰 임파양 기관
·작용 : 림프구 생산(비장 속의 백수, white pulp)
적혈구 파괴 및 저장(비장 속의 척수, red pulp)
혈액 저장, 실혈시 보충
항체 생산(형질 세포가 함)
식작용(혈중 이물 제거) - 내피, 세망 세포가 있으므로

57. 흉관
⇒ · 좌측 상반신 및 양측 하반신으로부터의 모든 림프관이 모이는 곳
· 전체 길이 : 35 ~ 40 cm 굵기 : 3 ~ 5 mm
· 인체에서 가장 큰 림프관
· 지방은 유미관(유미조)를 통해 들어옴
→ 유미조 : 인체에서 지방을 흡수하는 장소
· 유입 : 좌쇄골하정맥과 좌내경정맥의 결합부 ( 정맥각 )

58. 정맥의 유입이 바른 것
⇒ · 요측피 정맥 : 액와 정맥
· 척측피 정맥 : 상완 정맥
· 대복제 정맥 : 대퇴 정맥

59. 간문맥계 ~ 참고 1-2학기 해부학 pp. 428
⇒ · 간에 분포하는 혈관은 산소와 영양분을 제공하는 영양 혈관인 고유간동맥과 혈액의 정화나 물질의 합성 및 저장을 위한 기능 혈관인 문정맥과 중심 정맥이 있음
· 문(정)맥 : 위장관에서 흡수한 영양물질이 함유된 혈액을 운반하는 혈관
· 동양혈관 : 간 속의 얇은 일종의 모세혈관. 간 내 영양물질의 운반과 배출 관여

60. 다음 중 잘못 설명된 것은 ?
⇒ · 단핵구 - 대식세포와 관련 有 (○)
· 림프구 - 면역 항체와 관련 (○)
· 알부민 - 혈장 교질 삼투압 (○)
· 호중성구 - 만성 염증시 증가 (×)
→ 호중성구는 급성 염증에 관여

61. 간문막 형성 ( 문정맥의 형성 ) 혈관
⇒ 위정맥 , 비정맥 , 상장간막동맥 , 하장간막동맥
( 참고 ) 문정맥이란 ? : 복강내의 장기들인 위, 소장, 대장, 췌장, 비장 및 당낭등의 정맥혈을 한 곳으로 모아 간으로 운반하는 길이 약 7 cm 인 정맥

62. 망막
⇒ · 망막은 뇌포에서 유래하여 신경막이라고도 함
· 10 층 구조, 사진기의 필름 역
· 거상면에 의하여 망막맹부(상이 맺힐 수 ×)와 망막시부(상이 맺히는 부위)로 구분함
· 시신경 원만 ( 유두 : optic disk ) : 맹점 ( blind spot )
· 황반 중심와 : 물체의 상이 가장 잘 맺히는 부위
· 망막 내 감수체 ( 감각세포 )


63. 위의 기능 中
⇒ · 주세포 - pepsinogen 분비 ( 소화효소 분비 )
· 벽세포 - HCl ( 염산 ) 분비
· 가스트린 - 위액 분비 촉진 호르몬

64. 방광
⇒ · 오줌을 저장하는 용적 500 ~ 800ml의 장기
· 방광 벽의 근육 : 종주근 → 윤주근 → 종주근 의 3층 구조
· 가운데의 윤주근이 매우 발달
· 방광 첨( 상부 ), 방광체, 방광저( 하부 )로 구분
· 오줌량에 의해 모양 변화 ( 이행상피에 의해서 )
· 정막 - 이행상피 ( 6 ~ 7 층 구조 )
· 방광 삼각 : 후하방의 주름이 없는 곳. 요관구와 내요도구가 개구
· 요의를 느끼는 방광 용량 : 150 ~ 300ml ( 배뇨압 - 70 ~ 100 cm )

65. 멜라닌 색소가 多 존재층 : 종자층

66. 혈압감수기 - 총경동맥 (혈압 , 화학 감수기 有)
(참고) 경동맥소체, 대동맥소체 : 화학감수기(산소 및 이산화탄소 분압의 수용기)
경동맥동 - 혈압감수기

67. 완신경총 종말지 & 분지 경로 ( K 형 ... )
: 해부학 책 & 임상 운동학 책 참고

68. 맥버니 point
⇒ · 충수염 진단부위
· 위치 : 우측 ASIS 와 배꼽사이의 가상선에서 외측 2/3지점

69. 발성과 관련된 연골 - 피열연골

70. 목에 주름을 잡거나 슬픈 표정을 짓게 하는 근 - 광경근

71. 소장의 운동
⇒ · 융모운동, 연동운동, 분절운동, 진자운동
( 참고 ) 소장의 구조 - 윤상 주름, 융모,
십이지장선, 고립 및 집합 림프소절

72. 척추의 해부학적 기본 구조
⇒ · 추체 : 추체는 23개의 추간원판으로 서로 연결됨
앞·뒷면은 세로로 잇는 전·후층 인대로 보강되어 있다.
· 추공 : 척추관을 형성하여 척수가 통과함
· 추궁 : 3종 7개의 추골돌기가 有
( 극돌기 1개. 횡돌기 2개, 상·하 관절돌기 4개 )

73. 반사궁 ( 일어나는 순서 5 단계 )
⇒ · 감수체 ( receptor ) → 구심(감각) 신경 →
반사중추 → 원심(운동)신경 → 효과기

74. 부비동
⇒ · 상악동 : 가장 큰 부비동 , 중비도에 개구, 염증 有
· 사골동 : 3 ~ 18 개의 벌집같은 부비동 , 중비도에 개구함 ( 사골몽소라고도 함 )
· 전두동 : 2개의 부비동 , 중비도에 개구함
· 접형골동 : 2개의 부비동 , 상비도에 개구함
· 부비동염 -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된 것 , 상악동에 빈발 , 축농증이라도 함

75. DNA와 RNA의 구조 (핵산의 연결 )

76. 저산소증..
⇒ · 적혈구 생성 증가(촉진) : 적혈구조혈인자 → erythropoietin( 생성장소 : 신장 )

77. Bainbridge reflex
⇒· 심장이나 대정맥의 압력 상승시 심박수 증가되는 현상

78. * 운동성 언어영역
⇒ 외측구 앞 전두엽, Broca영역(44)-언어의 발음
이상시 운동성 실어증(motor aphasia, 발언은 되지 않으나 호흡, 연하, 저작운동은 가능)유발
* 감각성 언어영역
⇒ 측두엽 후방에서 두정엽 일부, Wermicke영역-언어의 이해
이상시 감각성 실어증(sensory aphasia, 말은 들려도 그 뜻을 모름) 유발

79. 호기시-횡격막 이완, 흡기시-횡격막 수축

80. 맥박 촉지 가능 동맥
·두경부 : 천측두동맥, 안면동맥, 후두동맥, 후경동맥
·상 지 : 액와동맥, 상완동맥, 요골동맥
·하 지 : 대퇴동맥, 슬와동맥, 족배동맥, 후경골동맥

81. 뇌신경
·지각 : 제 1, 2, 8뇌신경
·운동 : 제 3, 4, 6, 11, 12뇌신경
·혼합 : 제 5, 7, 9, 10뇌신경
·눈 : 시각 - 제 2뇌신경안구운동 : 제 3, 4, 6뇌신경
·제 5뇌신경 분지 : 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
·제 7뇌신경 분지 : 고삭신경(혀의 전방 2/3 미각담당)
·제 8뇌신경 분지 ① 전정신경(평형각) - 내이의 반규관, 전정부에 분포
② 와우신경(청각) - 내이의 달팽이관에 분포
·제 10뇌신경(미주) : 대부분 부교감신경지로 구성됨
·부교감 신경지를 분지하는 것들 : 제 3, 7, 9, 10 뇌신경

82. 자율신경계
⇒ 일명 식물신경계로 평활근 지배함
신경절을 형성하여 절전섬유와 절후섬유로 구분됨
⇒ 교감신경 : 심박동 증가, 혈관수축, 동공확대, 기관지 확대, 한선촉진, 배뇨억제, 연동운동억제, 위액분비억제, 타액선 억제
⇒ 부교감신경 : 소화기계 운동촉진, 비뇨기계 운동촉진

83. 심장 우심방과 직접적인 연결관계가 있는 것?
-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

84. 신경교세포
① 성상교세포 : 신진대사 담당, 뇌-혈관장벽 형성
② 회돌기교세포 : 중추신경계의 수초현상(소수의 돌기를 가지고 있다)
③ 소교세포 : 중배엽성 발생, 식작용으로 신경계 보호
④ 상의세포 : 뇌실의 내면세포, 뇌척수액 분비

85. Willis circle(대뇌 동맥륜)
⇒ 대뇌 혈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동맥의 고리
A. 내경동맥계
① 전대뇌동맥 ② 전교통동맥 ③ 중대뇌동맥
④ 후교통동맥
B. 추골동맥계
⑤ 후대뇌동맥(←뇌저동맥←추골동맥)

86. 복대동맥의 분지
① 복강동맥 - 좌위동맥 - 위, 식도에 분포함
총간동맥 - 간, 담낭에 분포함
비동맥 - 비장, 췌장에 분포함
② 상장간동맥 : 십이지장, 공장, 회장, 맹장, 우결장에 분포함
③ 하장간막동맥 : 좌결장, 직장 등에 분포함
④ 신동맥
⑤ 중부신동맥
⑥ 고환동맥(난소동맥) ⑦ 요동맥

87. 태아순환

88. Brain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혈관
⇒ 내경, 추골동맥

89. 간뇌 : 자율신경의 통합중추, 혈당조절중추, 체온조절중추, 식욕·포만중추, 배란조절, 호르몬 생산 등
중뇌 : 상구(시각 반사중추), 하구(청각 반사중추)
뇌교 : 제 5, 6, 7, 8 뇌신경이 기시. 호흡운동에 관여.
연수 : 심장중추, 호흡중추, 연하 및 구토 중추, 각막반사중추, 정신적 발한 중추 등
소뇌 : 몸의 평형 유지, 수의적 운동 조정, 근긴장도 조절

90. 순환계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
⇒ 운동시 혈액 성분 농축, 심장 박동수 증가, 혈압 증가, 적혈구수 증가, pH 하강, 심박출량 증가,
혈액농축

91. 내낭을 구성하는 신경섬유 - 교련, 연합, 투사섬유

출처 : 요가 아쉬람
글쓴이 : yogi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