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의 구조와 각부의 명칭 |
|
|
 
|
|
|
|
귀의 기능과 설명
|
|
|
소리만 들을 뿐만 아니라, 몸의 균형도 유지합니다 ! 많은 사람들이 앞을 보지 못하는 실명을 가장 불행한 경우로 생각하지만 듣지 못하는 것이 정서적으로 훨씬더 해로운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머리 양쪽에 볼품없이 쫑긋 서있는 귀는 그런만큼 사람들이 인식하는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태아의 발달과정만 보더라도 귀를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은 자명합니다 !수정난이 세포분열을 하면서 가장 먼저 형성되는 감각 기관이며 역시 임신16주만 되면이미 그 기능을 발휘합니다 중요도의 순서에 따라 인체각기관이 만들어졌다고 치면, 귀는 정말 소중한 감각 기관입니다 |
|
|
|
|
|
귀의 구조는 크게 나누어서 3가지로 구분됩니다 외이, 중이, 내이 로 구분됩니다 외이는 또 다시 귀바퀴와 귀구멍으로 나누어지는데 귀바퀴는 소리를 모으는 나팔과 같은 모양으로 표면이 울퉁불퉁한 것은 미묘한 소리조차도정확히 수용하기 위해서입니다.이 귀바퀴는 대부분이 하나의 탄력성있는 연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겉은 얇은 피부로 둘러싸여있습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안쪽으로 길이 2.5cm 의 귀구멍이 이어 집니다. 소리의 통로구실을 하는 이 외이도는 외계의 압력을 고막이 직접 받지 않도록 꼬부라져 있으며 이곳에는 엄청나게 많은 털과 귀지샘이 있어 유해물들이 안쪽까지 들어가지 못하게하는수문장의 역할을 합니다. 고막은 밖에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을 정확히 이소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
|
|
|
|
|
고막 다음에 이소골이 3개 있는데 ( 추골, 침골, 등골 ), 3개가 있는데 이작은 뼈들이 서로 연결되어있으면서 소리를 증폭시켜 귀의 안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와우각 ( 달팽이관)은 소리를 구분한다는 측면에서 진짜 청음기관으로 볼 수 있는데 내분은 기저막 이라는 조직이 중앙을 가로막고 있으며 그위에 소리를 감지하는 감각세포가 분포되어 있습니다. 그 옆에 반규관은 3개의 아주 미세한 반원형의 도관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것이 몸에 상하운동 / 전진운동 / 좌우운동을 감지해 몸의 균형을 잡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나이가 많으면 이 평형기관의 기능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은 똑바로 걸어도 남이 보면 비틀비틀 거리면서 걷습니다. |
|
|
|
|
|
복잡한구조를 자랑하는 귀는 몸에 청각기능과, 몸의 균형유지를 하는기관 으로서 소리는 뇌로 전달되기 전에 귀속의 3부분을 지납니다. 예를 들자면 전화벨이 울리면 공기를 흔들어 음파를 만들고 이 음파는 고막을 울리게 함으로써 고막에 붙어있는 3개의 작은 뼈가 안팎으로 진동하게 되어 그 진동이 달팽이관속의 내이액에 파동을 일으켜 약 3만개의 달하는 청각세포가 자극을 뇌에 전달함으로써 비로서 소리를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몸의 평형 역시 귀를 막고 있는 주요기능인데 대개 심하게 현기증을 일으키는 경우 이비인후과를 찾는 것도 이 때문이고, 멀미를 할 때 귀밑에 약을 붙이는 까닭도 평형감각기능이 역시 귀내부에 있어서 귀밑에 붙입니다 . 따라서 소음( dB )수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이소골이 자극이 커서 고장이 생기기가 쉽고 그러면 청각에 손상이 옵니다. 따라서 소음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청각에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요즘 청소년들이 이어폰을 꼽고 음악을 들을 때 고음으로( 소음수치가 높게 ) 장기간 들으면청각 장애가 옵니다 ! |
|
[이침(耳針)요법이란] |
|
|
이침은 귀에 있는 혈(穴)자리를 이용해 각종 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방법으로, 중국 의학의 고전인《黃帝內經(황제내경)》에 기록되어 있는 중국전통의 치료법입니다. 명대(明代)에 이르러서는 耳穴圖(귀혈자리 지도)가 만들어져서 그 당시 중국의 이침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상당히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중화민국 건립 이후부터 이침은 장족의 발전을 거듭한 나머지 1980년대에 와서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이혈 국제표준화 방안(草案)’을 위탁 받아 1987년에 그 기본적인 내용이 통과되어 이침의 규격화 및 표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귀에 있는 혈자리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직접 침을 놓는 방법(압침요법), 자석요법, 사혈법(瀉血法), 맛사지법, 압환법(壓丸法)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압침요법과 사혈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있습니다.
압침요법 이란 반창고에 작은 침이 붙어있어 (T침) T침을 귀의 혈자리에 붙이는 방법으로, 제일 간편하고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현재 중국이나 우리나라 에서도 제일 많이 이용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일반인도 가정이나 직장에서 손쉽게 활용 하고 있어 마치 우리나라의 수지침처럼 전세계인이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 있습니다. 요즘은 이침을 통하여 치료 목적 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전도를 하기 위한 TOOL 또는 비즈니스를 하시는 사람은 사람과 사람의 만남의 TOOL로도 활용하기 위하여 개인 뿐 아니라 직장과 단체에서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우리나라에는 늦게 이침이 들어온 관계로 아직 정확히 모르는 실정입니다 이침은 전혀 부작용이 없고 짧은 시간에 쉽게 배우고 익히며 활용이 쉽고 비용 또한 적게 든다는데 장점이 있으며 귀를 통하여 상대방의 질병을 쉽게 파악하고 진단 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질병들을 손쉽게 다스릴 수 있다는데 매력이 있습니다 이침요법은 남의 귀를 보면서 진단과 아울러 치료가 가능하며 본인의 질병도 스스로가 진단 및 치료가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일석이조가 아닐 수가 없으며 귀는 미용차원의 신체부위 라고 생각 하기에는 아쉬운 면이 있으므로 건강측면에서 다루어 져야 한다 그러므로 귀(耳)라는 용어가 주는 의미는 우리들에게 상당히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 귀찮게 하는 것 “ 에서 유래 되었듯이 귀에 대한 선조들에 행위들은 귀를 귀찮게 하여 정신과 건강을 다루었음을 알 수 있다 |
|
|
[이침의 진단요령] |
|
|
주변 사람들의 귀의 모습을 살펴보시면. 모든 사람의 귀의 모양이 같아 보이나 귀의 형태는 각각 다양합니다. 그리고 어린이의 귀를 보고 질병이 있는 사람의 귀를 보면 무언가 특이한 부분들이 발견됩니다.
귀이지 이라든지, 무엇이 생겼다든지(종기. 돌기),색깔이 이상하다 든지(충혈.갈색.흰반점) 핏줄. 주름. 통증. 함몰. 변형 등등 이런 것들을 발견 할 수 있는데 이런 것 들은 신체 부위에 이상이 있다는 증거이며 이런 것 들에 의하여 귀는 나이가 들수록 변하여 갑니다
또한 이침(耳針)을 통하여 치료를 하면 건강을 되찾을 경우에는 귀에 상태는 건강한 사람들의 모습의 귀로 복원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귀는 태아가 엄마의 배 속에 거꾸로 들어서 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옛 어르신 들이 어린아이 들에게 기를 살려준다고 귀를 맛사지를 하신경우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귀의 맛사지를 통하여 전신 각체에 기. 혈. 신경이 잘 통하게 하므로 오장육부가 좋아지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
|
|
[이침치료] |
|
|
이침을 통한 치료하는 것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압침요법, 사혈요법, 압환법. 맛사지요법 등으로 많은 질병들을 다스릴 수 있으나 시침하는 사람이나 시침 받는 사람과 서로의 마음에 믿음이 있어야 하므로 무엇보다도 시침시 에는 몸과 마음이 반듯하게 정리정돈을 하면서 시침에 임해야 할 것이다 |
|
|
[엄마 뱃속에 있는 태아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
 |
|
|
[이침의 목적] |
|
|
이렇듯 우리 몸을 담고 있는 귀에 시침이나 사혈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 및 치료를 해주므로 이침을 접한 사람 들을 통하여 본인의 바람과 목적을 성취하는데 이침의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요즈음 시대에 살아가다 보면 질병에 노출 될수 밖에 없는 현실에 있으므로 이침은 이런 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이 된다고 봅니다 하지만 이침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이 들고 순수한 배움의 자세와 정신이 삶을 풍요롭게 한다는데 우리는 만족을 해야 합니다 |
|
|
[전체 이침 혈자리 분포도] |
|
|
귀에는 약270여개의 이혈이 분포 되어 있으며 그 중에 약150개의 혈점이 임상에서 사용 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이혈은 95개가 있으며 그 중에 95개의 혈점 자리의 진단 방법과 기능을 잘 배우고 알 수만 있다면 모든 사람 들이 명의의 수준이 될 것 입니다. |
|
|
[이침의 이해]
|
|
1. |
이침목적 : 하고자 하는일을 보다 쉽고 빠르게 성취 하기 위함(비즈니스.봉사.전도.치유) |
|
2. |
이침이란 : 귀에 있는 혈자리를 이용하여 침을 놓으므로 각종질병을 치유, 예방 하는 것. |
|
3. |
이침근거 : 태아가 엄마뱃속에서 거꾸로 들어서 있는 모습을 이침학으로 발전시켰다. |
|
4. |
이침기원 : 중국. 북한 등지에서 발달한 민간의학으로써 의술과 의약이 발전되지 않았을 때 민간 대체의학 으로써 지금도 보급 되어지고 있다. 한국은 최근에 보급되었고 많은 비젼과 개척분야이기도 하다. |
|
5. |
이침인정 : 1987년 WHO에 의해 정식으로 의학으로써 인정 받았다. |
|
6. |
분포지역 : 북한 . 중국 . 유럽.(프랑스) |
|
7. |
이침장점 : 1) 배우기 쉽고 활용이 쉽고 빠르다. 2) 부작용이 적어 안전하다.(저혈압시 주의) 3) 효과와 범위가 빠르고 광범위하다. 4) 필드에서 접촉과 만남이 쉽다. (귀를 만지면서 얘기 하므로) 5) 희생과 봉사 및 사랑을 베풀수있다. 6) 실적과 결과가 뚜렷이 나타난다. 7) 각종 질병예방과 치유가능.(가족.친지.주위사람) |
|
8. |
이침기구 : 사혈침관 . 사혈침 . T침 . 이침통 . 핀셋트 . 침파우치 |
|
9. |
시침요법 : 압침요법 . 압환법(자석.압봉.닥터봉) .사혈법 . 맛사지법 1) 압침요법의 사용처 : 신경과 근육에 문제가 생길 때 사용한다. 2) 사혈요법의 사용처 : 혈액/혈압/혈관으로 문제가 생길 때 사용한다. 3) 맛사지법의 사용처 : 건강 예방차원에서 손으로 전체귀를 주무르고 당기고 누르고 하여 전신에 기혈을 통하게 할 때 사용한다. 4) 압환요법의 사용처 : 압침요법을 대신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
10. |
혈자리 : 총 270여개로 구성되어있으나 이중에 90개만 알아도 활용할 수있다. |
|
11. |
용어종류: 1)기본혈점 : 시침시 기본적으로 놓아 주는곳.[침.심.위.비.간.신.신문.교감] 오장 : 간 / 심 / 비 / 폐 / 신 육부 : 담 / 소 / 위 / 대 / 방 / 삼초 2)위치혈점 : 귀의 구조와 달리 혈점이 있는곳. 3)혈 점 : 귀의 침을 놓는자리 4)위치점: 귀와 달리 신체부위의 시침자리 5)시 침 : 침을 놓는 행위 6)사혈: 귀나 신체부위에 혈을 방출하는 것 |
|
12. |
이침과 건식 : 이침은 리어카 바퀴에 끼인 돌맹이를 빼어주어 굴러가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영양소는 계속 돌맹이가 끼지 않도록 해준다 |
|
13. |
이침 수강시 핵심: 1) 정확한 진단법 2) 정확한 혈자리 3) 혈자리 기능 | |
|
귀는 인체의 축소판입니다. 귀와 인체의 상응규칙은 자궁 내에 거꾸로 들어있는 태아와 같아, 머리는 아래를 향해 있고 엉덩이와 다리는 위를 향하고 있으며 가슴, 배, 몸체는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 이혈 부위의 배치도 > |
|
1. 이륜(耳輪) 이륜각(耳輪脚) : 횡격막에 해당.
2. 이륜와(耳輪窩) : 팔에 해당.
3. 대이륜(對耳輪) : 몸통에 해당
4. 대이륜상각(對耳輪上脚) : 다리에 해당.
5. 대이륜하각(對耳輪下脚) : 엉덩이에 해당.
6. 삼각와(三角窩) : 골반, 내부 생식기에 해당
7. 이갑개정(耳甲介艇) : 복강에 해당. 8. 이갑강(耳甲腔) : 흉부에 해당. 9. 이주(耳柱) : 억제기관에 해당.
10.대이주(對耳柱) : 머리와 뇌에 해당.
11.이수(耳垂) : 머리와 얼굴에 해당.
12.주간이음 : 내분비계통에 해당. 13.대윤주이음(對耳輪과 對耳柱 사이에 오목한 곳) : 뇌간에 해당 14.윤주이음(耳輪脚과 耳柱사이에 오목한 곳) : 후아, 코, 부신에 해당.
15.이륜각 주위 : 소화기계통에 해당. |
|
[질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
1. |
영양소의 불균형 : 지방 / 당분 / 고기 / 인스탄트 증가 야채 / 과일 감소 |
2. |
스트레스 증가 직접적 : 항산화 유입 간접적 : 술 / 담배 / 폭력 |
3. |
운동부족 : 지방과 당을 태우지 못하여 비만과 성인병을 유발한다. |
4. |
장기의 충분한 휴식부족 : 심장 / 신장 / 방광 / 간 / 대장 / 소장 / [조야 조식]을 준수할 것 |
|
|
[기능학적구분] |
|
1. |
소화기 : 구강 인후 식도 위장 십이지장 공장 비장 췌장 담(쓸개) 이들 장기는 음식의 소화과정에 관계되는 장기들이며 이들에게 이상이 생기면 음식에 관련된 질환이 생긴다 |
|
2. |
순환기 : 심장 폐 대장 삼초 구강 코 인후 기관지 이들의 장기는 혈액이나 공기의 순환에 관여 하는 장기이며 이들에게 이상이 생기면 혈액순환 장애와 공기의 순환 장애가 생긴다 |
|
3. |
생식기 : 자궁 난소 외음순 내음순 전립선 고환 오생식기 내생식기 이들의 장기는 자손번식의 기능에 관여하는 장기이며 생리적인 부부이기에 이곳이 나빠지면 생식과 생리에 문제가 생긴다 |
|
4. |
비뇨기 : 신장 수뇨관 방광 요도 (소변라인) 소장 결장 직장 항문 (대변라인) 이곳은 소변과 대변이 시작되고 빠져 나가는 장기 이므로 이곳이 문제가 생기면 배출에 문제가 생기고 배출이 되지않아 혈액이 정체되므로 병이온다 |
|
[의학적구분]
1.면역계 : 비장.겨드랑이.경부. 갑상선.겨드랑에 있으며 임파구와 임파절의 작용으로 세균등의 감염으로부터 몸을 지킨다. 인체에는 임파관이라는 관(管)이 혈관(血管)처럼 전신(全身)에 펼쳐져있어 그 속을 임파액(液)이 흐르고 있습니다. 임파액은 죽은 세포나 혈구 등의 노폐물을 운반하는 것 외에 외부(外部)로부터의 세균이 침입한 경우 그것에 대항하는 임파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임파구는 이물질(異物質)의 침입을 감지하면 항체(抗體)라고 하는 화학 물질(化學物質)을 내어 백혈구와 함께 격퇴시킵니다. 임파구는 한 번 싸운 외적(外敵)의 성질을 기억하기 때문에 또 다시 같은 외적이 침입하면 재빨리 반응하여 퇴치(退治)시켜 버립니다. 이 작용을 면역(免疫)이라고 말합니다. 임파관 경로의 곳곳에 임파절이라고 하는 조직이 있어 임파액을 여과(濾過)시켜 이물질이나 독소(毒素)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세균등이 침입한 경우 감염(感染)이 전신에 퍼지지 않도록 하며 때로는 이물질의 침입에 반응해서 붓는 경우도 있습니다
2.신경계 : 신경계는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으로 나누며 중추는 다시 뇌와 척수신경으로 나누며 말초신경은다시체성신경과 자율신경으로 나누며 신경계 신경은 중추신경, 말초신경으로 되어있습니다. 중추신경은 뇌와 척수이며 말초 신경은 거기서 뻗어나온 신경들이며 자율신경은 우리가 컨트롤할 수 없는신경 입니다.그러니까 신경계에서 근육에 명령을 내려 주동근과 길항근이 작용하여 몸이 움직이게 됩니다.뼈는 단지 근육에 붙어서 있을뿐 입니다 인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우선 뇌에서 몸을 어떻게 움직이라는 명령을 내리죠.. 그 명령을 신경이 전달하는데,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그것이 근육으로 전달되고, 근육이 수축이나 이완을 함으로 인해서 뼈도 같이 움직이게 되는것 입니다. 신경계는 몸에 골고루 퍼져있습니다. 아무리 기관이 상해도 신경계가 없으면 위험하며.중대신경계는 (중심신경계라고 해석) 뇌와 척수입니다. 일단 뇌에서 일자줄기로 척수로 뻗은 다음 줄기처럼 퍼지며 그래서 등뼈를 세게 치면 마비가 됩니다. 왜냐하면 등뼈는 척수를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자율신경계는 크게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뉩니다. 교감 신경계는 인체가 위급한 상황에 직면할 때 체내의 기관들을 흥분시켜서 이 위급한 상황에서 인체가 항상성을유지하게해주고교감신경계는"아드레날린"이나"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화학물질은분비함으로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며 반대로 부교감신경계는 흥분된 기관들을 다시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돌려 주는 역할을 합니다.부교감신경계는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을 분비해서 이러한 작업을수행하게됩니다.
3.혈관계 : 동물의 혈관 속을 순환하는 체액. 갖가지 혈구와 혈장으로 되어 있는데, 생체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날라다 제거 하는 기능은 혈액이 하고 혈관은 다음과 같다 척추동물에서는 림프계와 더불어 순환계를 구성하는 관계(管系)를 말하고, 무척추동물에서는 순환계와 같은 뜻으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관계 내에는 혈액이 유통하며, 일정방향으로 순환하고 있다. 폐쇄 혈관계와 개방혈관계의 2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에는 유형동물 환영.척추동물이 속하고, 후자에는 절지동물 ·연체동물이 포함된다. 개방혈관계에는 모세혈관이 없고, 말단이 열린 동맥으로부터 나오는 혈액은 혈체강(血體腔)으로 들어가서 직접 조직을 적신 후 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되돌아온다. 새우나 게의 심장은 체강이 퇴화된 위심강(圍心腔) 속에 있고 2∼3쌍의 심문(心門)이 있는데, 각각 입에는 입술 모양의 판(瓣)이 있어 수축기에는 입을 닫는다. 벌어질 때 심문으로부터 혈액이 속으로 들어간다. 지렁이 등의 환형동물은 배행혈관(背行血管)과 복강혈관(腹腔血管) 및 양자를 연결하는 횡행혈관으로 이루어진다. 배행혈관의 일부는 심장이며, 내부에는 판을 갖추고 그 꿈틀거림 운동에 의하여 혈액이 몸의 전방으로 흐르며 머리부에서 복행혈관으로 이동하고 나서 되돌아온다. 주요 혈관에서 분지된 혈관은 모세혈관과 연결된다.
4.홀몬계 : 호르몬이란 생체의 특정한 세포에서 만들어져 분비되는 물질의 일종으로, 세포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은 혈액을 따라 이동하여 표적세표(target cell)의 생화학적인 효과를 나타내는데 관여하는 물질을 말하며, 내분비계(호르몬계)란 생체의 항상성, 생식, 발생, 행동 등에 관여하는 각종 호르몬을 생산, 방출하는 기관으로서 선(gland), 호르몬(hormones), 표적세포(target cell) 등 3가지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내분비선으로부터 생산된 화학적 신호인 호르몬은 마치 통신네트워크와 같이 혈액을 통해 체내를 순환하며 표적이 되는 각 세포, 조직에 정보 및 지령을 전달하며, 하나의 표적장기에만 작용하기도 하고(갑상선자극호르몬 : 갑상선에만 작용), 또 어떤 호르몬들은 여러 세포들에 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며 (예 : 인슐린이나 갑상선 호르몬-간, 뇌, 피부 등에 작용), 신체내부의 호르몬은 작용하는 장기에 독특하게 결합되는 호르몬 수용체가 있어 호르몬-수용체라는 복합체를 형성하여 특히 장기에 선택적으로 독특하게 결합하여 생화학적 효과를 일으킨다. 한편 세포가 나타내는 반응은 그 특정세포의 유전적 프로그램에 따르기 때문에 동일한 호르몬이 다른 조직에서 다른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5.근육계 : 근육(muscles)은 인체조직 중에서 수축성이 강한 조직으로써 뜻대로 움직일 수 있는 수의근(voluntary muscle)인 골격근(skeletal muscle)과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인 평활근(smooth muscle) 및 심근(cardiac muscle)의 3종이 있다. 골격근은 관절, 표정 및 저작 등의 운동에 관여하고 평활근은 내장 벽에 분포하며 심근은 심장에 국한되어 존재하한다. 근은 외배엽에서 유래되는 몇 개의 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배엽에서 발생한다.
1.근육계의 이해 600 개 이상의 골격근들이 근육계를 구성하며, 기술적으로 각 근육은 하나의 기관이다. 그것은 골격근 조직, 연결 조직, 그리고 신경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근육은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눈을 깜박거리는 것과 같은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집합적으로, 골격근들은 인체 질량의 약 40 %를 차지하고 있다.근세포(근섬유)들은 신경으로부터 오는 신호에 의하여 자극될 때 수축한다. 불과 몇 개의 근세포의 자극은 눈에 띄는 효과를 일으키지 못하나. 분리된 하나의 근섬유의 수축들이 중요하며, 근육 내에서 계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충분한 수의 골격근 섬유들이 동원될 때, 근육은 수축하며 인체의 움직임을 일으킨다.
근육들은 세 가지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1) 움직임, 2) 열의 생산, 3) 인체의 지지와 자세의 유지. 1).움직임 골격근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가장 분명한 기능은 걷기, 달리기, 글쓰기, 씹기, 삼키기와 같이,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를 움직이는 것이다. 골격근의 수축은 호흡과 체액의 흐름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각 골격근 섬유의 자극은 tonus라고 불리는 근육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수축 상태는 혈액과 임파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불수의적인 평활근의 수축은 인체 전체에 걸쳐 물질들을 옮기는데 역시 중요하다. 비슷한 경우로, 심장근의 수축은 인체에 보내는 피를 계속적으로 펌프질한다.
2).열의 생산 체온은 상당히 일정한 수준에서 유지된다. 세포들 내에서의 대사작용은 부산물로써 열을 방출한다. 근육이 체중의 약 40 %를 차지하고, 섬유의 활동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체온의 주 원천이다. 열 생산의 율은 심한 운동을 하는 동안에 크게 증가한다.
3).자세의 유지와 인체의 지탱 골격계는 인체의 틀을 제공한다. 그러나 골격근은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유연한 관절을 고정하며, 내장 들을 지탱한다. 어떤 근육들은 중력에 대하하는 일을하는 것이 주요 기능인 활동적인 자세 근육들이다. 몇 개의 자세 근육들은 당신이 이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동안에도 수축을 하고 았다. 예를 들어, 당신이 앉아 있을 때와 같이, 당신의 머리의 중량이 환추-후두골 관절에서 목의 뒷부분에 있는 근육들이 긴장함으로써 균형을 이룬다. 만일 당신이 잠들기 시작한다면, 당신의 머리는 자세 근육들이 이완하고 머리의 무게(저항)가 힘(근 수축력)을 능가함으로써 갑짜기 앞으로 꾸벅하게 될 것이다.
인체에 있는 근조직은 세 가지 형태이다: 평활근(smooth), 심장근(cardiac), 골격근(skeletal). 이다 비록 이러한 세 가지의 형태들이 구조와 기능에 있어 서로 다르고, 근육계는 골격근계에 적용되지만, 다음의 기본 성향들은 모든 근조직을 특징짓는다. 1). 흥분성(irritablility) : 근조직은 신경 자극들로부터 오는 작극에 민감하다. 2). 수축성(contractility) : 근조직은 길이로 수축함(또는 짧아짐)으로써 자극들에 반응한다 3). 신장성(extensibility) : 자극이 가라앉고 근조직 내에 있는 섬유들이 이완하면, 그들은 길항근의 수 축에 의하여 그들의 안정시 길이 이상으로 신전된다. 섬유들은 그런 다음 다음의 수축을 위하여 준비된다. 4). 탄성(elasticity) : 신전이 이루어진 후 근섬유는 그들의 안정시 길이로 되돌아 가려는 경향을 갖는다. 골격근들은 일반적으로 해부학적 위치와 협응 기능에 따라 집단으로 분류되어 설명된다. 축골격의 근육들은 얼굴, 목, 복부와 등근육을 포함한다. 부속지의 근육들은 어깨와 골반에 작용하는 근육들과 사지의 관절을 움직이는 근육들이다.
2. 골격근들의 구조(structure of skeletal muscles) 골격근 조직과 그의 연결 조직은 근섬유를 수축하는 힘을 결합하고 그 힘들을 근육을 움직이는 구조에 보낼 수 있도록 고도로 조직화된 형태로 정렬되어 있다.
6.골격계 : 동물에서, 몸을 지탱하는 여러 가지 뼈의 조직. 뼈대. 골간(骨幹)을 말한다 뼈는 신체의 기본 형태를 만들며, 성인은 206개의 뼈가 조립되어 골격(skeleton)을 형성한다. 뼈는 서로 만나 관절(joint)를 이루고 인대(ligament)와 근육(muscle)이 부착하여 관절을 보강한다. 근육이 수축할 때 뼈는 움직이는 수동적 운동기관으로 신체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여러 개의 뼈가 모여 강(cavity)을 이루고, 그 속에 뇌및내장 기타 기관을 보호하며, 뼈속에는 골수(bone marrow)가 있어 조혈작용(hemopoiesis)을 할 뿐만 아니라 칼슘(calcium)과 인산염(phosphate) 같은 무기물을 저장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중축성 골격 또는 체간골격 (axial skeleton)
척주(vertebral column) 27 개
두개골(skull) 22 개
설골(hyoid bone) 1 개
늑골(ribs) 24 개
흉골(sternum) 1 개
부속성 골격 또는 체지골격 (appendicular skeleton)
상지골(bones of upper limb) 64 개
하지골(bones of lower limb) 62 개
이소골 (auditory ossicles) 6 개
합 계 207개
뼈와 근육,연결조직으로 구성된 골격시스템은 몸의 형태를 유지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기는 약 350개의 뼈를 가지고 태어난다. 이 뼈들은 연골이라고 불리는 수분기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아기가 성장하면 인산 칼슘이 뼈 속으로 스며들어 뼈를 딱딱하게 만든다. 이러한 과정을 석회화라고 부른다. 최종적으로 석회화된 연골은 단단한 뼈로 대체됩니다. 뼈는 대부분이 인산 칼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몇 개의 뼈는 서로 융합되어 있다. 성인의 경우 체내에는 206개 또는 209개의 뼈가 있는데 이는 개인에 따라 늑골과 미저골을 가지고 있는가 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인산칼슘은 두 가지 방식으로 뼈를 채우고 있다. 뼈 외부 층의 인산 칼슘은 단단하고 두터운 결합 조직의 형태로 골막이라고 불리는 막에 의해 덮여 있고, 심층에서는 스폰지와 같은 벌꿀집 형태, 즉 망상 조직이라고 불리는 다공성 물질로 되어 있다. 골수는 백혈구와 적혈구가 생성된 곳이며 생성된 백혈구와 적혈구를 밖으로 이동시키고 필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적혈구를 안으로 이동시킨다 뼈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경우 10대 중반부터, 남성의 경우 약20세부터 길이의 성장을 멈춘다. 그러나 뼈의 재생성이 진행되기 때문에 모든 성장과정이 중단되는 것은 아니다. 뼈는 골아 세포와 파골세포가있다. 이 두 세포는 함께 작용하여 뼈의 외부에 새로운 물질을 지속적으로 형성하고 내부에 있는 오래된 불필요한 물질들을 제거한다.
이러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칼륨이나 인,비타민D와 같은 일정 영양소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혈중 칼슘이 부족할 경우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 와 혈중 농도를 보완하게 되어 결국은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연결체는 관절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뼈들을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뼈의 충격을 흡수하고 마찰을 완화시킴으로써 들어 올리기,흔들기, 굽히기,걷기 등과 같은 평생의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관절 각각의 구조는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관절은 같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관절은 튼튼한 섬유질 피막인 연결 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곳에서 분비되는 윤활액은 운동 부위의 마찰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피막의 바깥쪽에는 인대라고 불려지는 섬유질의 고정대가 있어 관절을 둘러싸고 뼈를 연결시켜 준다. 인대는 피막을 보호하고 관절이 안전한 범위 내에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건이 라고 불리는 근육조직은 옆의 큰 관절들에 부착되어 있어 한쪽 편에 있는 근육을 다른 한쪽 편에 있는 뼈를 연결시켜 준다. 골격계는 뼈,근육,결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이 시스템은 우리 몸의 형태를 이루고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또한 모든 신체의 시스템을 포용하여 외부환경으로 부터 보호한다. |